프라이빗 크레딧이란?
"기업에 빌려주고, 이자 받는 구조. 채권보다 고수익, 주식보다 저변동."
프라이빗 크레딧(Private Credit)이란, 은행이 아닌 개인 또는 기관 투자자가 기업에 직접 대출을 해주는 사모채권을 말합니다.
기업은 자금을 조달하고, 투자자는 이자 수익(쿠폰)을 통해 정기적 수익을 얻는 구조입니다.
사모채권을 알려면 우선 사모펀드를 알아야합니다.
사모 펀드란? 소수의 비공개로 투자자의 자금을 모아 주식이나 채권에 투자하는 펀드로 고수익기업투자펀드라고도 한다. 고수익을 추구하지만 그만큼 위험도 크다. 소수 투자자들로부터 단순 투자 목적의 자금을 모아 펀드로 운용하는 주식형 사모펀드(일반 사모펀드)와 기관으로부터만 자금을 조달하는 기관전용 사모펀드, 그리고 특정기업의 주식을 대량으로 인수해 기업 경영에 참여하는 방식으로 기업의 가치를 높인 후 주식을 되팔아 수익을 남기는 사모투자전문회사로 구분한다.(출처 : 등록일2020-11-03.네이버 시사 경제용어 사전)
- 사모펀드와 사모채권의 차이점- 사모 펀드는 소수로부터 돈을 모아 부동산, 주식 등에 투자하는 펀드(즉, 수익증권)이고, 채권은 국가나 기업, 지방정부가 자금 조달을 목적으로 발행하는 채무증권의 일종이라 할 수 있습니다.(출처:2024.12월 네이버 지식인 "테스티아"님의 답변)
왜 지금 프라이빗 크레딧인가?
코로나 이후 금융시장 변화로 인해 프라이빗 크레딧은 전 세계 자산운용사의 ‘핫한 대체투자’가 되었습니다.
- 은행 대출 규제 강화로 기업은 비은행권 대출처 필요
- 채권금리 하락 → 투자자는 더 높은 수익률 추구
- 헤지펀드·연기금 등 대형 자금 유입 중
최근에는 개인 투자자도 소액으로 참여 가능한 구조가 생겨나며, 일반인도 ‘사모대출 투자’가 가능해지고 있습니다.
전통 채권 vs 프라이빗 크레딧 비교
항목 | 전통 채권(공모) | 프라이빗 크레딧(사모) |
대상 | 국가, 대기업 | 스타트업, 중소·중견기업 |
수익률 | 3~5% 내외 | 7~12% 수준 |
리스크 | 낮음 | 다소 높음 (부도 가능성) |
유동성 | 높음 (시장 매도 가능) | 낮음 (만기까지 보유) |
진입장벽 | 낮음 | 기존엔 높았으나, 최근 완화 추세 |
어떤 구조로 투자할까요?
투자자는 아래 중 하나의 방식으로 프라이빗 크레딧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 P2P 플랫폼
- 예: 테라펀딩, 어니스트펀드
- 장점: 10만 원 단위 소액 투자 가능
- 단점: 투자자 보호 장치 제한적
- 사모펀드(전문 투자자용)
- 예: IMM크레딧, MBK파트너스 등
- 장점: 리스크 분산 설계
- 단점: 최소 투자금 1억 이상
- 마켓플레이스형 구조화 상품
- 예: 크래프트테크놀로지스의 ‘펀드매니저 없는 펀드’
- 장점: 자동화·AI 기반 리스크 분석
- 단점: 정보의 투명성 확보가 중요
투자 전 알아야 할 리스크
- 유동성 리스크: 중도 매도 불가. 만기까지 묶일 수 있음
- 신용 리스크: 기업 부도 시 원금 손실 가능
- 정보 비대칭: 투자자보다 차입기업이 유리한 정보 보유
- 규제 미비: 일부 P2P 상품은 법적 보호 미흡
투자 전 반드시 체크할 사항: 1)금융위원회 등록 플랫폼인지, 2)상품구조 설명서가 명확한지, 3)분산 투자 가능한지
이런 분께 추천합니다
- 채권형 상품의 수익률이 아쉬운 분
- 장기적으로 7~10% 수익률을 기대하는 분
- 리스크 관리가 가능한 분산 포트폴리오 설계를 원하는 분
- P2P나 사모형 상품에 관심 있는 분
프라이빗 크레딧 한눈에 보기
항목 | 내용 |
정의 | 은행 외 투자자가 기업에 직접 자금을 대여하고 이자를 받는 구조 |
기대수익률 | 연 7~12% |
유동성 | 낮음 (중도 환매 불가) |
최소 투자금 | 10만 원~1억 이상 (플랫폼/펀드에 따라 상이) |
주요 리스크 | 유동성, 신용, 정보 비대칭 |
진입경로 | P2P 플랫폼, 사모펀드, 구조화 상품 |
프라이빗 크레딧은 아직 국내에서 생소한 개념이지만, 세계 자산운용 업계에서는 이미 대세가 된 투자 방식입니다.
개인 투자자도 이제는 정보력과 분산 전략을 갖춘다면 채권 이상의 수익률을 현실화할 수 있는 시대입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실제 투자 가능한 플랫폼 3곳을 분석해 볼까 합니다.
돈이 일하게 만드는 투자, 이젠 나도 시작할 수 있습니다.
'마이크로재테크 > 트렌디한 마이크로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픈 파이낸스 기반 재테크: 데이터로 돈 버는 시대가 왔다 (0) | 2025.07.13 |
---|---|
음악 저작권 투자: 로열티 수익화와 뮤직 시큐리티화 (0) | 2025.07.13 |
생활 속 보험 리모델링과 보험 재테크: 내 보험, 제대로 점검하고 돈 되는 자산으로 바꾸는 법 (1) | 2025.07.12 |
정부지원금 마이크로재테크: 몰라서 못받는 2025년 정부지원금 (0) | 2025.07.12 |
2025년 마이크로 재테크: 정부가 주는 돈부터 챙기자! 꼭 신청해야 할 지원금 5가지 (0) | 2025.07.11 |